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만 시간의 법칙, 도서, 저자소개, 줄거리, 느낀 점

by 리치ty 2023. 5. 17.
반응형

책-표지

어떤 분야에서든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으려면 1만 시간은 쏟아부어야 한다는 이론인 '1만 시간의 법칙(The 10,000-Hours Rule).' 이 책은 우리가 천재라고 생각하는 인물들의 사례를 다양하게 조명함으로써 그들이 1만 시간 동안 어떤 단계를 거쳤으며, 어떤 실천전략으로 성공을 완성했는지 집중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성공은 없으며 땀 흘리는 '절대 시간'과 끈질긴 인내가 대기만성을 위해 필요함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될 것입니다.

 

이 책에서는 최고 전문가 반열에 오른 사람들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연습의 질을 높여 악순환을 피하고 선순환에 올라서는 구체적인 실천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어영부영 시간을 흘려보내지 않고 1만 시간을 성공의 밑거름으로 투자하려는 독자들에게 이 책이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자 이상훈 소개

서울대에서 독문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대통령학으로, 영국 리즈(Leeds) 대에서 정치커뮤니케이션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1998년 [연합뉴스]에 입사, 2003년부터 [매일경제신문]에서 10여 년 동안 기자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습관의 기적>이 있습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의 줄거리

이 책의 저자는 기자라는 직업의 특성상 성공한 사람들을 자주 취재하며 그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모두 한 가지 일을 최소한 1만 시간 넘게 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책은 '1만 시간의 법칙(어떤 분야에서든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으려면 1만 시간은 쏟아부어야 한다는 이론으로 성공한 이들은 모두 하루도 빼놓지 않고 3시간 이상 10년을 투자하며 쉼 없는 노력을 기였다는 것)'을 설명하면서 한 가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똑같이 1만 시간을 한 분야 또는 한 직업에 쏟는다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어야 하는데 결과는 천차만별이라는 것입니다. 무엇이 이런 차이를 만드는 것일까요?

 

이에 대해 저자는 성공한 이들은 모두 좋아하는 일을 찾아 신중한 연습을 하며 성취와 자신감을 얻는다는 연습의 선순환에 올라섰기 때문에 최고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악순환의 법칙에 빠져 자신도 모르게 타성에 빠지고 삶은 무의미한 일상으로 전략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이 책에는 세계적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가발공장 여공에서 하버드대 박사가 되어 유명해진 서진규 희망연구소장, 하반신을 전혀 쓰지 못했던 미국 청년 마크 웰만, 노르웨이에서 '미스터리'라는 라면 브랜드를 만든 이철호 대표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1만 시간의 법칙을 읽고 느낀 점

1만 시간의 법칙, 하루 3시간 이상 10년이라는 시간을 투자하면 성공할 수 있다고 하는 법칙! 하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지 않는 법칙입니다. 저도 현재 하고 있는 일을 10년 이상 해 오고 있지만 성공을 하지는 못 했습니다. 그렇다고 또 전문가가 되지도 못한 것 같습니다. 솔직히 지금하고 있는 일 말고는 할 줄 아는 것도 없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하고 있으니 제 자신이 안타깝게 느껴지네요.

 

10년 이상 해 왔던 일이고 다른 일은 할 줄 모르면 더 열심히 노력했어야 했는데 그냥 그때그때 현실에 안주하며 살아왔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도대체 내가 뭐 하면서 살아온 건가? 내가 좋아하는 일은 무엇인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도 현재 일을 그만둔다면 어떤 일을 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여러 번 해 봤습니다. 그런데 답은 늘 모르겠다입니다. 좋아하는 것도 그렇다고 잘하는 것도 없다는 게 속상하기도 합니다. 여러 재주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보면 부럽기도 합니다.

 

지금부터라도 노력한다면 성공을 할 수 있을지, 확답을 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앞으로 우리의 삶에는 1만 시간 이상의 시간들이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에게는 아직 기회가 있기에 남은 시간들을 후회만 하면서 살 수는 없습니다. 저도 지금까지의 1만 시간이 후회가 됐다면 남은 시간들은 후회하지 않도록 정말 열심히 살았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여유를 갖고 내가 정말 좋아하는 일이 무엇일까? 어떤 일을 잘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며 1만 시간의 법칙을 적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공은 못 하더라도 전문가는 될 수 있게 말입니다.

 

반응형

댓글